• 정보센터
  • 무역용어

무역용어

물류관련용어

FCL(Full Container Load)
한 개의 컨테이너를 이용할 수 있는 화물

LCL(Less Than Container Load)
한개 컨테이너를 이용할 수 없는 소량의 화물

CY(Container Yard)
컨테이너를 보관,집적하고 수도(受渡)를 행하는 장소

CFS(Container Freight Station)
운송의 주체자가 화물터미널에서 직접 하주로부터 LCL화물을 인수, FCL을 만드는 보세구역의 창고

BAF(Bunker Adjustment Factor)
유류할증료,Bunker Surcharge

CAF(Currency Adjustment Factor)
통화할증료,Currency Surcharge

CBM(Cubic Meter)
화물의 가로,세로,높이를 Meter로 환산하여 곱한 결과치

R.Ton (Revenue Ton)
용적이나 전량 또는 가격 어느쪽이든 간에 운임계산의 기초가 되는 톤을 말하며, 운임톤(Freight ton)이라고 한다.

Commercial Invoice
상업송장, 선적된 화물에 대해 품명·수량·단가총액·적출항(積出港)·양하항(揚荷港)·출항일·도착예정일 등을 기재한 서류

Packing List
포장명세서, 수출화물의 선적서류로서 포장할 때 Case번호와 내용·수량·중량·용적 등이 기록되어 통관시나 수입지역에 있어서 하역및 사고발생시 보험구상(求償)수속에 이용된다.

D/O(Delivery Order)
화물인도지시서. 수입화물을 수화인에게 인도하는 과정에서 Original B/L과 인환(引換)하는 형식으로 선사의 지점 또는 대리점에서 발행

ETD(Estimated Time of Departure)
선박이 입항한 후 서비스를 받고 출항할 예정시간

ETA(Estimated Time of Arrival)
선박입항예정시간

F/I(Free In)
해상운송계약에 있어서 선적시의 선내하역임(船內荷役賃)은 하주가 부담하고, 양하시의 선내하역임은 선주가 부담한다는 조건

F/O(Free Out)
FI와는 반대로 양하시의 선내하역비만을 하주가 부담한다는 조건

B/T(Berth Terms)
운임중에 선적지와 양하지의 하역비용이 포함된 조건.선주부담조건

GRI(General Rate Increase)
정기선사들이 정기적으로 전품목을 대상으로 일시에 운임 인상하는 것을 가리킨다. 일관운임인상

MLB(Mini Land Bridge)
극동에서 선적된 화물이 미국의 태평양 서안 항구에서 양하되어 철도나 트럭에 의해 미국 대서양안의 동부 및 걸프지역 항구의 터미널까지 운송되는 서비스

All Water
MLB와 비교되는 용어로서 미국의 태평양 서안 항구를 통하지 않고 파나마 운하를 통해 항구에 양하되어 운송되는 서비스

CFS Charge
CFS에서 선박회사가 건네받은 LCL화물을 처리해주고 받는 요금

THC(Terminal Handling Charge)
컨테이너조작료. 항만에서 화물을 조작할 때 드는 비용

Document fee
BL을 발행하기 위한 과정까지 발생되는 일종의 서류수수료

Container Tax
컨테이너세금. 항구가 속해 있는 도시에서 부과하는 세금

Wharfage
부두사용료. 안벽·잔교 부두를 통과하는 화물 Tone수를 근거해서 부과하는 항만사용료 중의 하나임